스리랑카 수입 관세

스리랑카는 공식 명칭이 스리랑카 민주사회주의 공화국 으로, 남아시아 인도양에 위치한 섬나라입니다. 주요 국제 해상 교통로에 인접한 전략적 위치를 바탕으로 스리랑카는 지역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이자 여러 양자 및 다자 무역 협정에 참여하고 있는 스리랑카는 상품의 흐름을 규제하는 체계적인 수입 관세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스리랑카 관세 체계는 스리랑카 세관 에서 관리하며, 관세 목적으로 제품을 분류하는 통일 상품 코드(HS) 를 따릅니다. 스리랑카의 관세율은 수입 제품의 종류, 원산지, 그리고 체결된 특별 무역 협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스리랑카는 일반 관세 외에도 많은 수입품에 부가가치세(VAT) 와 국가 건설세(NBT)를 포함한 특정 세금을 부과합니다.


스리랑카의 수입 관세 제도

스리랑카 수입 관세

스리랑카의 수입 관세 제도는 필수품의 수입을 장려하는 동시에 국내 산업을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리랑카에 수입되는 대부분의 상품에는 수입 관세와 세금이 부과되지만, 스리랑카와 자유무역협정(FTA) 또는 특별 무역 협정을 체결한 국가에서 수입되는 상품에는 특혜 관세가 적용됩니다.

스리랑카 관세율의 일반 구조

스리랑카의 관세는 국제 무역 품목분류체계인 HS(통일상품분류체계) 를 기반으로 합니다. 스리랑카 관세청은 이 체계를 사용하여 제품 범주에 따라 관세를 산정합니다. 스리랑카 수입 관세 체계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 수입 관세: 이는 대부분의 수입 상품에 적용되는 표준 관세율로, 제품의 관세 가치(CIF: 비용, 보험료, 운임)의 백분율로 계산됩니다.
  • 부가가치세(VAT): 일반적으로 8% 의 부가가치세 (VAT) 가 스리랑카로 수입되는 대부분의 상품(상업용 및 개인용 수입품 모두 포함)에 부과됩니다. 의약품 및 교육 자료와 같은 특정 상품은 부가가치세가 면제됩니다.
  • 국가 건설세(NBT): 식료품, 농산물, 필수품 등 특정 면제 품목을 제외한 모든 수입 물품의 가치에 2%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 항구 및 항만 요금: 항구를 통해 수입되는 상품에는 제품의 특성과 양에 따라 추가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알코올, 담배, 자동차 등 필수품이나 사치품으로 간주되지 않는 특정 상품에는 특별 수입 관세(SID) 와 소비세가 부과 됩니다.


제품 범주별 수입 관세율

1. 농산물

농산물 수입은 스리랑카의 식량 안보에 필수적이지만, 품목에 따라 수입 관세가 다르게 부과됩니다. 일반적으로 스리랑카 정부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에 대해 높은 수입 관세를 부과하여 국내 농업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 곡물(HS 코드 10):
    • 15% 관세
    • : 정부 특별 제도를 통한 수입의 경우 관세 0%, 일반 수입의 경우 25%
    • 스리랑카의 쌀 관세는 일반적으로 높은 편으로, 국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하지만 공급 부족이나 정부의 특별 할당이 있는 경우에는 쌀 수입이 허용됩니다.
  • 과일 및 채소(HS 코드 07, 08):
    • 사과: 관세 25%
    • 오렌지15% 관세
    • 토마토30% 관세
    • 감자10% 관세
    • 과일과 채소에 대한 수입 관세는 토마토와 감자와 같이 수요가 많은 품목을 생산하는 지역 농부를 보호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 육류 및 가금류(HS 코드 02, 16):
    • 쇠고기15% 관세
    • 돼지고기10% 관세
    • 닭고기10% 관세
    • 육류 수입 관세는 제품에 따라 10%에서 15%로 적정 수준입니다. 스리랑카와 양자 협정을 체결한 국가에서 육류를 수입하는 경우, 특혜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유제품(HS 코드 04):
    • 분유15% 관세
    • 치즈20% 관세
    • 버터20% 관세
    • 유제품에는 적당한 관세가 부과되지만, 스리랑카의 국내 생산 능력이 부족하여 여전히 상당량이 수입되고 있습니다.

2. 섬유 및 의류

스리랑카는 강력한 섬유 및 의류 제조 산업으로 유명합니다. 따라서 스리랑카는 국내 제조업체를 보호하기 위해 섬유 수입에 관세를 부과하고 있지만, 완제품 의류 생산에도 수입은 필수적입니다.

  • 섬유 직물(HS 코드 52, 54):
    • 면직물12% 관세
    • 모직물10% 관세
    • 합성섬유15% 관세
    • 직물 수입에 대한 관세는 재료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합성 직물은 면 직물보다 세금이 더 높습니다.
  • 의류(HS 코드 61, 62):
    • 셔츠: 관세 20%
    • 청바지20% 관세
    • 드레스25% 관세
    • 완제품 의류에는 일반적으로 20%에서 25%의 수입 관세가 부과됩니다. 그러나 스리랑카의 수출 지향적 의류 산업은 제조업을 지원하기 위해 섬유와 같은 원자재를 더 낮은 가격으로 수입하는 데 더욱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 신발 및 액세서리(HS 코드 64):
    • 가죽 부츠30% 관세
    • 합성 신발25% 관세
    • 핸드백: 관세 15%
    • 신발과 액세서리는 높은 수입 관세가 부과되며, 특히 가죽 제품의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3. 전자 및 전기 장비

스리랑카는 가전제품, 산업 장비, 전기 기계 등 다양한 전자 제품을 수입합니다. 이러한 제품에 대한 수입 관세는 다른 품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휴대전화 및 컴퓨터(HS 코드 85):
    • 휴대폰: 관세 0%
    • 노트북/컴퓨터: 관세 0%
    • 정제: 관세 0%
    • 스리랑카는 디지털 전환과 기술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휴대전화와 컴퓨터를 포함한 대부분의 전자 제품에 0% 관세를 적용합니다.
  • 가전제품(HS코드 84, 85):
    • 냉장고15% 관세
    • 에어컨10% 관세
    • 세탁기20% 관세
    • 냉장고나 세탁기와 같은 가전제품은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5~20% 정도의 중간 정도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 전기 기계(HS 코드 84):
    • 발전기5% 의무
    • 모터5% 듀티
    • 변압기10% 의무
    • 산업용 품목을 포함한 전기 제품은 스리랑카의 제조업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낮은 수입 관세가 적용됩니다.

4.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스리랑카는 국내 조립 및 수입 차량 모두에서 상당한 자동차 시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에 대한 수입 관세는 국내 자동차 조립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높은 수준이지만, 차량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 자동차(HS 코드 87):
    • 승용차50% 관세
    • 전기 자동차10% 관세
    • 오토바이10% 관세
    • 승용차는 일반적으로 50%에 달하는 상당한 관세를 부과받는 반면, 전기 자동차는 환경 친화적 교통 수단을 장려하기 위해 약 10% 의 관세 인하 혜택을 받습니다.
  • 자동차 부품(HS 코드 87):
    • 엔진5% – 10% 듀티
    • 변속기 부품5% 듀티
    • 서스펜션 부품5% – 10% 듀티
    • 자동차 부품은 완제품보다 일반적으로 관세가 낮으며, 부품 유형에 따라 세율이 5%에서 10% 사이 입니다.

5. 화학 및 제약

화학 물질과 의약품은 스리랑카 경제, 특히 농업, 제약, 제조업에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제품에는 일반적으로 낮거나 중간 수준의 관세가 부과되지만, 특정 화학 물질에는 더 높은 관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의약품(HS 코드 30):
    • 의약품: 관세 0%
    • 스리랑카는 의료 서비스의 적정 가격을 보장하기 위해 대부분의 의약품에 0% 관세를 적용합니다.
  • 화학물질(HS 코드 28-30):
    • 산업용 화학 물질5% – 10% 관세
    • 농약10% 관세
    • 산업용이나 농업용 화학물질 수입에는 일반적으로 5~10% 의 적정 관세가 부과됩니다.

특별 수입 관세 및 면제

스리랑카는 표준 관세 외에도 특정 제품과 특정 조건에 따라 특별 관세와 면제를 적용합니다.

1.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특혜관세

스리랑카는 여러 국가 및 지역 단체와 FTA를 체결하여 해당 국가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대한 특혜 관세 및 감면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FTA는 다음과 같습니다.

  • 스리랑카-인도 자유무역협정(SI-FTA): 섬유, 차, 의약품 등의 제품에 대한 관세가 인하되거나 면제됩니다.
  • 스리랑카-파키스탄 자유무역협정(PAK-SLFTA): 농산물, 섬유, 화학제품 등 다양한 제품에 대해 우대 관세를 제공합니다.
  • 아시아 태평양 무역 협정(APTA): 중국, 인도, 한국을 포함한 APTA 회원국은 다양한 상품에 대해 특혜 대우를 받습니다.

2. 반덤핑 및 세이프가드 조치

스리랑카는 부당하게 낮은 가격으로 수입되어 국내 산업을 위협하는 상품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또한, 특정 제품의 수입 급증으로부터 국내 생산자를 보호하기 위해 세이프가드 조치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 철강 제품: 중국 이나 러시아 와 같은 국가에서 수입되는 철강 제품의 가격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반덤핑 관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섬유: 방글라데시 나 베트남 의 특정 섬유 제품은 스리랑카의 현지 의류 부문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 조치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3. 면제 및 감면

  • 개인 소지품: 개인이 개인적인 용도로 수입하는 물품은 특정 조건에 따라 세금이 면제되거나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 자선 기부: 인도적 목적으로 수입되는 물품도 수입 관세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국가 정보: 스리랑카

  • 공식 명칭: 스리랑카 민주사회주의 공화국
  • 수도: 콜롬보(행정), 스리자야와르데네푸라코테(입법)
  • 가장 큰 도시:
    • 콜롬보
    • 캔디
    • 갈레
  • 1인당 소득: 약 4,100달러(2023년 기준)
  • 인구: 약 2,200만 명
  • 공식 언어: 싱할라어, 타밀어
  • 통화: 스리랑카 루피 (LKR)
  • 위치: 스리랑카는 인도 남쪽, 인도양에 위치한 섬나라입니다.

지리학

스리랑카는 다양한 지형을 가진 열대 섬나라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섬의 중앙 지역은 산악 지대이며, 가장 높은 봉우리는 해발 2,524m의 피두루탈라갈라 입니다.
  • : 스리랑카에는 여러 개의 강이 있는데, 그 중 마하웰리 강 은 이 나라에서 가장 긴 강입니다.
  • 해안선: 이 섬은 해변과 해안 지역으로 둘러싸여 있어 관광과 운송의 중심지입니다.

경제

스리랑카는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혼합 경제 체제를 갖추고 있습니다. 스리랑카는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유명합니다.

  • 농업: 주요 작물로는 차, 고무, 코코넛이 있습니다. 실론차 의 주요 수출국이기도 합니다.
  • 제조업: 섬유 및 의류는 주요 수출 부문이며, 보석 및 귀금속 도 마찬가지입니다.
  • 관광: 관광은 스리랑카의 풍부한 문화 유산, 야생 동물, 해변에 힘입어 성장하는 부문입니다.
  • 서비스: 금융IT 등 서비스 부문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습니다.